J

[ENTJ의 MBTI 이야기] ISFP _착하고 싶으면 억울해하지나 말아라. 본문

잡담, 별로 쓸모는 없는/MBTI

[ENTJ의 MBTI 이야기] ISFP _착하고 싶으면 억울해하지나 말아라.

JstandsforJ 2021. 7. 17. 14:00

부제: 글 제목을 보고 상처 받기보다 좀 반성하고 이기적으로 살았으면 좋겠는 ISFP들에게.

다시 보는 궁합표. 이상하다, 내가 보는 나는 그렇게까지 사람 안가리는 종이 아닌데...

ENTJ인 본인과 정반대 선상에 서있어서 그런지 상호보완적인 면 또한 분명히 있지만 그만큼 이해 안 되는 부분이 많다. 제목으로 알 수 있다시피 자신들이 착한 것이 보답받지 못하는 데에 억울해한다는 게 나로서는 가장 이해 안 가는 부분이다.

 

 

ISFP들? 전반적으로 착하다. 베풀 줄 안다. 베푸는 천성이 있다는 것은 분명 대단한 일이다.

 

하지만 진정으로 베풀고자 한다면 베푸는 것에서 그쳐야 한다고 나는 생각한다. 보답하는 건 상대 몫이다. 상대가 보답한다면 그 사람이 나름 좋은 사람이라는 반증이 되겠고, 보답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베푸는 이의 입장에서 생각할 것이 못된다.

 

 

여기서 ISFP의 고질병이 발생한다. 부탁을 한다고 해서 거절은 못하고, 하기 싫은 것 억지로 해준다. 자신은 착한 사람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상대가 보답을 해주면 뿌듯해하며 기뻐한다(베푸는 그들은 분명 귀엽고 예쁘다. 억지로 하는 것이 아니라 천성적으로 베푸는 기질이 분명 있다).

 

ISFP가 뭔갈 줄 때 얼굴. 귀여움.

 

하지만 아니라면? 자기가 거절 못함+결국 해줌+보답 없음 > 이 과정에서 쌓인 억울함도 ISFP들은 말 못 한다. 그냥 허허거리면서 털어버릴 수 있다면 정말 레어한 종의 ISFP일 것이고, 거의 대부분의 경우 ISFP가 아니다(INFP 추정). 깊든 얕든 어떤 형태로든 그들은 마음 한켠에 억울함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은 베푸는 착한 사람이라는 콤플렉스 내지 어긋난 인식이 깊이 박혀있다.

 

 

답답한 꼴 못보는 NT

옆에서 보는 ENTJ는 이해가 안 간다. 아니, 그러면 힘들다고 울지나 말던가?! 못한다고 말을 하던가! 왜 굳이 착하자고 그러고 있는데?

 

 

자기 말을 하고 삽시다... 괜히 불건강해지지 말고

 

왜 자기 욕망을 자기만 모르고 혼자 눈 가리고 아웅 하는지.

 

관심받고 싶어 해도 괜찮다. 쓸데없이 착하기보다 남의 인정받고 싶어 하는 것을 차라리 티 내고 사는 게 낫다. 힘들다고 참다가 한꺼번에 터져서 울고 있으면 옆 사람이 힘들다. 분명 ISFP 당신 본인도 힘들 것입니다.

 

 

위 짤 ISFP를 아주 잘 표현하고 있다.

그리고 고민하면서 침대에서 뒹굴고 폰만 보고 있지만 말고 한 번쯤 당신을 던져보는 것도 좋겠네요. 그렇다고 일 너무 많이 한꺼번에 벌리지 마시고, 하나씩 벌리고 뒷 마무리는 제대로 하도록 합시다.

 

 

꼭 이렇게 팔레트 든 이미지다 ISFP는.

마지막으로, 다들 ISFP를 그렇게 예술가로 그리는데(ENTJ는 사업가 아니면 정치인이다.) ISFP들이 비주얼적인 것에 환장하는 면이 있긴 하지만 예술가 기질은 MBTI와 상관없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한 타입을 고정된 직군과 연결 짓는 것 좀 그만했으면 한다.

 

 

ISFP, 개인적으로 ENTJ에게 애인으로는 괜찮은데 친구로는 사귀기 힘들 타입인 것 같기도. 애인으로 스파크 튀어서 보면 그냥 귀엽게 오구구 그랬구나 하면서 예뻐해 줄 자신 있음.

Comments